1. Spring의 정의 JAVA의 웹 프레임워크로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JAVA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JAVA를 이용한 기술이 JSP, Mybatis, JPA 등의 기술이 생겨났다. 이러한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라고 보면 된다. 2. 프레임워크(Frame Work) Spring이 프레임워크라는건 알겠는데, 도대체 프레임워크가 무엇일까?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 이는 문제를 쉽게 해결하기 위한 약속이자 도구이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한의 뼈대 역할을 한다. 프레임워크는 자주 쓰일 만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유틸들의 모음이다. 기본적인 설계나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알아서 할테니 개발자는 개발 역량에만 집중해라! 3. 스프링 ..
Boot를 공부하니 Database와 연결하는 것이 Spring Lagacy Project 할 때보다, 훨씬 수월했다. src/main/resources 내부에 있는 properties 파일을 yml 파일로 변경 후 yml의 설정에 맞게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localhost:3306/blog?serverTimezone=Asia/Seoul username : root password : 1234 이렇게 설정해주면 MySQL과 연결은 끝 ! 이제 Boot 내에서 일정한 형식을 통해 MySQL문에 쿼리문 데이터를 보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데, 그것을 해보려고 한다! 일단 테이블을 ..
개발 공부는 쉬지 않고 해왔지만,, 4월 중순부터 시작되는 중간고사.... 5월 초에 있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그리고 4월 말에 있는 내 생일 ... 등등 블로그를 당분간 쉴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충분했다.. 오늘 프로젝트 팀원인 건이와 함께 6월 30일부터 시작하는 Java 기반의 풀스 텍 SW 엔지니어링 국비 교육과 관련한 테스트와 간단한 면접을 보고 왔다. 4학년 1학기를 마치곤, 2학기 때는 아마 학교를 나가지 않고, 주구장창 코딩 공부하다가 취준에 뛰어들 생각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바인 로그인 파트를 마치고 다음으로 주어진 세세한 파트로는 select 유효성 검사와 등록하기 게시판을 구현 하는 것이었다. 대략 간단하게 사진으로 어떤식으로 구현되나 살펴보면! 내가 구현해야 할 파..
현재 우리가 구현한 페이지로는 올바르지 않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시도해도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간단한 오류메세지를 보여주는 기술 구현을 하기로 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 파트를 맡은 내가 구현을 하기로 했는데, 오류 메세지를 보여주는것은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결됐다! 컨트롤러 로그인 메서드에서 login값 실패인 경우에 값을 추가합니다. 조건문에 의해서 login이 되지 않은 경우에만 msg라는 정보에 false 값이 들어가서 전송됩니다. 이 값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새로고침을 하면 없어지는 일회용 값이니 참고하시길! 그리고 로그인 jsp에는 로그인이 실패했을 경우 표시될 간단한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로그인이 실패했을 때 우리가 원했던 것처럼 간단한 오류 메세지가 뜨..